본문 바로가기
투자 지식

고배당주는 진짜 안정적인 투자일까?

by 청담동어금니 2025. 5. 5.
반응형

숫자로 보는 오해와 진실

요즘 주식 커뮤니티를 조금만 돌아다녀 보면 “고배당주면 일단 안전하다”, “월급처럼 배당받자”라는 말이 자주 보입니다. 특히 금리가 낮아지거나 시장이 흔들릴 땐 더더욱 그렇죠. 그런데 과연 고배당주가 그렇게 ‘안정적인 투자처’일까요? 오늘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배당주의 실제 모습과 그에 대한 오해를 짚어보겠습니다.


배당수익률, 높다고 다 좋은 게 아니다

배당을 기준으로 종목을 고를 때 많이 보는 지표가 ‘배당수익률’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이 주당 1,000원을 배당하고 현재 주가가 20,000원이라면, 배당수익률은 5%가 됩니다. 숫자만 보면 꽤 괜찮아 보이죠?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점:
배당수익률이 높다는 건 주가가 낮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즉, 배당은 그대로인데 주가가 하락해 수익률이 높아진 거라면, 그 종목은 시장에서 '위험하다'고 판단되고 있을 가능성이 크죠.

예를 하나 볼까요?

종목2023년 말 주가배당금배당수익률
KT 30,000원 1,800원 6.0%
하나금융지주 38,000원 3,100원 8.1%
 

이 표만 보면 하나금융지주는 ‘무조건 사야 할 주식’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2022~2023년 사이 주가가 약 25% 하락했습니다. 배당수익률이 높아진 건 배당금이 늘어서가 아니라 주가가 많이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배당이 많다고 무조건 안정적인 건 아니다

고배당주는 일반적으로 에너지, 통신, 금융 업종에 많습니다. 문제는 이들 업종이 대부분 성장성이 정체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 기업이 더 이상 크게 성장하지 않으니 남는 이익을 배당으로 나눠주는 구조죠.

이런 구조는 경기 방어적인 성격을 가질 수 있지만, 동시에 주가 상승 여력이 적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실제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주요 고배당 ETF인 TIGER 고배당 ETF의 총 수익률은 약 **28%**에 불과했습니다. 같은 기간 KOSPI200은 41%, S&P500은 74% 상승했죠.


진짜 안정적인 고배당 투자는?

고배당이 안정적이려면 아래 조건을 함께 봐야 합니다.

  1. 배당성향이 무리하지 않은 수준인지
    (순이익의 70% 이상을 배당하면 지속 가능성이 낮음)
  2. 과거 배당이 꾸준했는지
    (코로나 때 배당을 끊은 기업은 이번에도 끊을 수 있음)
  3. 실적과 배당이 함께 성장하고 있는지
    (대표적으로 삼성전자, SK텔레콤 같은 사례)

또한 고배당 ETF에 투자할 경우, 분배금이 아닌 총 수익률을 꼭 확인하세요. 배당으로 5% 받았더라도, 주가가 10% 빠지면 결국 손해입니다.


결론: 배당만 보고 투자하면 안 된다

고배당주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해주는 좋은 투자처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지 배당수익률 숫자만 보고 들어간다면 오히려 위험할 수 있어요. 고배당이라는 말은 배당금이 높다는 말이지, 주가가 오를 거라는 보장은 아니라는 것. 숫자를 하나 더 확인하고, 회사의 체력을 한번 더 점검하는 습관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