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버스 펀드(inverse fund)나 인버스 ETF(exchange-traded fund)는 일반적으로 주가지수나 자산 가격의 하락을 통해 수익을 얻고자 하는 투자 상품입니다. 주식 시장이 하락할 때 인버스 상품은 상승하게 되어 투자자들이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투자자들이 시장이 조정을 받을 것으로 예상될 때 인버스에 투자하곤 합니다. 그러나 인버스 투자는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으며, 장기투자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몇 가지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1. 일일 수익률 목표와 누적 수익률 차이
인버스 펀드와 인버스 ETF는 대개 일일 수익률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즉, 해당 지수나 자산의 일일 변동을 반대로 추적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예를 들어, 주가지수가 하루에 1% 하락하면 1배 인버스 ETF는 1% 상승하고, 2배 인버스 ETF는 2% 상승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일일 수익률 추적 방식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적 수익률은 인버스 상품이 추종하는 지수의 장기적인 움직임과 상당히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시장이 변동성을 보일 때 더욱 두드러지며, "변동성 침식(volatility decay)"으로 불립니다. 특히, 지수가 단기적으로 오르락내리락하는 상황에서는 인버스 ETF의 가격도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지수가 100에서 110으로 10% 상승했다가 다시 100으로 9.09% 하락하는 경우, 지수는 원래 위치로 돌아오지만, 인버스 상품은 처음의 가격보다 낮아지게 됩니다. 이러한 일일 수익률 누적의 비대칭성 때문에 인버스 투자는 장기적으로 원래의 지수 하락 대비 더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2. 기하급수적 수익률의 함정
인버스 상품은 일일 수익률을 추종하기 때문에 복리 구조의 기하급수적 수익률 특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주식 시장에서의 일일 수익률이 복리로 누적되는 것처럼 인버스 상품도 일일 수익률이 누적됩니다. 그런데 이때 문제는 지수가 꾸준히 상승세를 보일 때, 인버스 상품의 가치가 기하급수적으로 하락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시장이 완만한 상승을 지속하는 경우, 인버스 상품의 누적 손실은 매우 커질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기하급수적 수익률 누적의 영향으로 인해 인버스 상품은 상승장에서는 급격한 손실을 피하기 어려우며, 이 손실은 장기적으로 복구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이 오르는 동안에는 인버스 상품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3. 높은 비용 구조
인버스 펀드나 인버스 ETF는 특수한 금융 파생상품을 활용하여 지수의 반대 수익률을 실현합니다. 이러한 파생상품은 지속적인 거래가 필요하며, 수수료와 거래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 결과, 장기적으로 보유할 경우 비용이 누적되면서 수익률을 추가로 잠식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ETF나 인덱스 펀드보다 높은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장기 보유 시 비용 부담이 커지게 되며, 이는 수익률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4. 시장의 방향성 예측 어려움
인버스 상품은 기본적으로 시장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에 기반해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시장의 방향성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특히, 시장이 단기적으로 하락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성장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인버스 투자자는 자산을 계속 보유하면서 장기적인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대규모 하락장이 아니면 일반적으로 시장은 어느 정도 회복을 거듭합니다. 인버스 상품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것은 이러한 장기적 회복력에 반하는 전략이 되므로 장기 보유에 불리한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5. 복잡한 상품 구조와 위험
일부 인버스 상품은 단순히 1배의 하락을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2배 또는 3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하는 상품도 있습니다. 이러한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은 단기적인 큰 변동성에서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위험이 매우 커집니다.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은 특히 변동성 침식 효과가 극대화되어, 시장이 크게 오르내리지 않고 횡보하더라도 장기적으로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레버리지 상품은 투자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복잡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레버리지 인버스 ETF에 장기적으로 투자할 경우 예상치 못한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복잡한 상품 구조는 장기 투자자에게 추가적인 리스크를 안겨줍니다.
6. 장기 투자에 더 적합한 대안 존재
장기 투자자에게는 인버스 상품 대신 더 나은 대안이 존재합니다. 주식, 채권, 또는 포트폴리오의 분산 투자와 같은 전통적인 장기 투자 방식은 시간에 따른 복리효과와 시장의 성장에 따라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인버스 상품은 일시적인 시장 조정을 대비하거나, 단기적으로 리스크를 헤지(hedge)하는 용도로 설계된 상품이므로 장기적인 자산 증식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장기 투자를 고려하는 사람에게는 인버스 상품 대신 전통적인 자산 배분 전략이나 장기적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인버스 상품은 일일 수익률 추적과 변동성 침식, 높은 비용 구조와 시장 예측의 어려움, 그리고 복잡한 상품 구조로 인해 장기 투자에 적합하지 않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품은 단기적인 시장 조정이나 헤지 수단으로서 유용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유할 경우 투자 손실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장기 투자를 계획하는 사람이라면 인버스 상품의 특성과 한계를 충분히 이해하고, 자산 배분과 같은 보다 안정적인 장기 투자 방식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투자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츠 (REIT) 투자가 가지는 문제점과 한계점 (2) | 2024.11.15 |
---|---|
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한국 주식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4) | 2024.11.14 |
코인과 주식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1) | 2024.11.12 |
한국 기준금리 인하: 배경과 영향, 그리고 투자자 전략 (8) | 2024.10.17 |
MMF (Money Market Fund)란? (1) | 2024.09.05 |
댓글